NEWS

 
 


언론보도폐기 재료가 음식으로…지구 살리는 '업사이클링' [이제는 순환경제]

관리자
2023-07-18
조회수 93



'ESG·건강' 모두 잡은 '친환경푸드'

<앵커>

전 세계적으로 매년 생산되는 식량의 30% 이상이 버려지면서 자원이 낭비되는 것은 물론, 환경오염을 초래하고 있는데요.

최근 국내 식품업계에선 제품을 만들면서 생기는 부산물이나 못난이 농산물을 활용해 새로운 음식으로 재탄생시키고 있습니다.

이를 `업사이클링 푸드`라 부르는데, 친환경적인데다 영양소까지 풍부해 건강과 ESG를 모두 잡았단 평가입니다.

신선미 기자입니다.


<기자>

여느 제품과 다를 바 없어 보이지만 에너지바와 쉐이크, 쫀드기까지
이들 모두는 맥주를 생산할 때 발생하는 부산물(맥주박)로 만들어졌습니다.

맥주박을 살균·건조한 뒤 분쇄해 만든 가루를 밀가루 대신 넣어 새로운 식품으로 재탄생시킨 겁니다.


버려지는 음식물이란 단어에서 생기는 부정적인 선입견과 달리 영양소도 풍부합니다.

일반 밀가루 대비 칼로리는 30% 낮지만, 단백질과 식이섬유는 각각 2배, 21배 많아 건강식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.

[이은아 / 오비맥주 부장]
맥주 부산물은 영양 성분이 충분함에도 그 동안 버려졌습니다.
2020년 관련 법이 개정되면서 스타트업(리하베스트)과의 협업을 통해
영양성분이 풍부한 고부가가치의 에너지바로 업사이클링할 수 있게 됐습니다.

오비맥주는 연간 4.5톤의 맥주박을 활용해 200kg의 밀가루 대체제로 만들고 있습니다.

이를 통해 밀 경작과 부산물 매립 시 발생하는 탄소 배출(7.5톤)을 억제하고 연간 148만 리터의 수자원도 절감했는데,
이는 연간 나무 360그루를 심은 것과 같은 효과입니다.

향후 오비맥주는 베이커리와 밀키트, 더 나아가 화장품과 문구류 등으로 맥주 부산물 사업을 다각화한단 계획입니다.

햇반의 재료가 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못난이 쌀(50%)과 두부를 만들 때 나오는 비지(10%)를 활용해 스낵으로 재탄생시킨 곳도 있습니다.

CJ제일제당 MZ 세대 직원으로만 구성된 사내벤처팀의 아이디어가 실제 제품으로 만들어진 겁니다.

[정주희 / CJ제일제당 사내벤처팀장]
글로벌 시장에서는 푸드 업사이클링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길래
신사업 아이디어로 제출했고, 바삭칩을 개발하게 됐습니다.
지금은 깨진 쌀과 비지만 활용했다면 다른 부산물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과
다른 스낵 제형도 만들어보려고 검토하고 있습니다.

60%가 부산물로 만들어진 이 제품 또한 7g의 단백질과 바나나 두 개 분량의 식이섬유가 담긴 고단백입니다.

CJ 푸드빌이 운영하는 베이커리 뚜레쥬르도 맥주 부산물과 밀가루를 가공할 때 나오는 부산물인 밀겨(밀 속껍질)를 활용해 빵을 만들었습니다.

밀가루 대비 열량은 낮고 식이섬유 등 영양소가 풍부한 두 재료를 활용해 몸에 건강한데다,
자체 개발한 ‘맥주 발효종’을 활용해 속도 더욱 편안한 것이 특징입니다.

과거에는 버려졌을 식재료를 활용해 새로운 음식으로 재탄생시키는 `업사이클링 푸드`.

식품업계의 새로운 아이디어가 소비자들의 건강을 챙기는 것은 물론 지구까지 살리고 있습니다.

한국경제TV 신선미입니다.


출처 : https://www.wowtv.co.kr/NewsCenter/News/Read?articleId=A202212010225&t=RS

2 0

RE:harvest

상호 주식회사 리하베스트 (RE:harvest Co., Ltd.)

대표 민알렉산더명준    개인정보관리책임자 주식회사리하베스트

대표전화 070-8670-0926   이메일 info@reharvest.net

주소 서울시 서초구 논현로 171, 제일빌딩 3층

사업자등록번호 529-81-01455   통신판매업신고 2020-서울강남-00383

COPYRIGHT © 주식회사 리하베스트(RE:harvest Co., Ltd.) ALL RIGHTS RESERVED.